0. session.php

 세션 변수의 값이 없다면 false 반환


session_cache_limiter([string $cache_limiter]); // 현재 캐시 한정의 이름 반환

 -mode : public / private / nocache

 -public : 프록시와 클라이언트에서 캐시 허용

 -private : 프록시는 허용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에서 캐시 허용

 -nocache : 모든 프록시/클라이언트 캐쉬 비허용 


1. main.php

 session.php 포함

 userid 세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login.php로 이동


2. login.php

 현재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창과 login 버튼 생성


3. db에 admin 계정값 삽입

MariaDB [rasbp]> insert into member(id, password) values('admin', 1234);

MariaDB [rasbp]> select * from member;


4. login.php

POST방식으로 값 받음


$mysqli=new mysqli($host, $user, $password, $dbname); // mysql과 연결

 

ex) $mysqli=new mysqli("localhost", "ras", "1234", "rasbp");



** 현재 입력한 id, password가 php로 입력되지 않고 있음

db에 id와 pw를 입력한 뒤 웹페이지에서 같은 값을 입력했을 때 로그인 되는지 확인

회원가입은 안만듬 개인서버라서

메뉴 생성 : main, etc

글 쓰기 버튼 : 로그인 이후에만 가능

1. html 기본

https://aego.tistory.com/manage/post/10


2. 서버에서 사용할 DB와 아이디 생성 (rasbp)

처음 설치 시

$mysql -u root -p

가 사용되지 않는다.

$sudo mysql 로 접속


DB 생성

mariaDB [(none)]> CREATE DATABASE rasbp default CHARACTER SET UTF8; 

rasbp // 생성할  db 이름

default CHARACTER SET UTF8 // 한글을 사용할 수 있는 UTF8로 문자열 저장

** db의 모든 이름(db, table, calumn)에는 영어소문자와 _(space)를 사용

** CREATE, SELECT 등의 명령어는 대문자를 사용

** 필수 아님


유저 생성

mariaDB [(none)]>  CREATE USER ras idenfitied by '1234';

ras // 사용자 이름

1234 // 비밀번호


DB에 사용자 권한 부여

MariaDB [(none)]> grant all privileges on rasbp.* to 'ras'@'localhost' identified by '1234; 


종료 후 생성한 사용자로 로그인

MariaDB [(none)]> exit

Bye

$ mysql -u ras -p

Enter password: 비밀번호


사용자 권한 부여 확인

MariaDB [(none)]> show databases;

아래와 같이 root가 아니고 ras에서도 rasbp가 보인다면성공


3. 테이블 생성 (member)

만들려고 하는 테이블 상세

id 영문자16개

password 영문자16개

실제 사이트에서는 더 많이 필요하나 연습용 서버라 이것만 구현


테이블 생성

 MariaDB [rasbp]> CREATE TABLE member(

    -> id varchar(16)

    ->, password varchar(16)

    -> );

** 원래 id varchar(16), 이렇게 가는게 맞는데 깜박해서 password 앞에 , 붙였다

** 사실 구분자이므로 어디에 두든 상관은 없다(mysql에서는 ;이전의 엔터에는 의미가 없으므로)


생성된 테이블 확인

desc [테이블명] : 테이블 구성 보기 



1. apache2 설치

$sudo apt install apache2


설치 후 확인

http:127.0.0.1 (본인아이피, 이하 로컬호스트)


2.mysql 설치

$sudo apt install mysql-server

$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


...

Enter current password for root (enter for none):  엔터

OK, successfully used password, moving on...

...

Set root password? [Y/n] y    

New password:   사용할 root 패스워드 입력

...

Remove anonymous users? [Y/n] y

...

Disallow root login remotely? [Y/n] y

...

Remove test database and access to it? [Y/n] y

...

Reload privilege tables now? [Y/n] y

 ... Success!

...

Thanks for using MariaDB!


3. mysql 설정



4. php 설치

$sudo apt install php php-mysql


설치 확인

$sudo nano /var/www/html/info.php

<?php phpinfo(); ?> 입력 후 저장

웹브라우저 실행 후 로컬호스트 입력

php 정보가 나옴


5. phpmyadmin 설치

$sudo apt install phpmyadmin

이후 웹에

로컬호스트/phpmyadmin

으로 접속


404 NOT FOUND

$sudo nano /etc/apache2/apache2.conf

Include /etc/phpmyadmin/apache.conf 입력 후 저장

$service apache2 restart

1. ssh로 접속


아이피 고정 (wifi에서)

192.168.0.1 접속

로그인 > 관리도구 > 고급설정 > 네트워크 관리 > 내부 네트워크 설정

사용중인 IP 주소 정보에 있는 rasberrypi를 클릭

수동 주소 입력에서 원하는 아이피로 바꾸고 수동 등록

사진과 같이 DHCP 서버 주소 관리로 올라오는 것을 확인하고 저장

!주의 $ ifconfig를 하면 저장된 주소와 다르게 나온다 $ ifconfig로 나온 주소를 쓰도록 한다

ex) 192.168.0.3이면 ssh 192.168.0.3 22로 접속

다음날 다시 해보니 102로 제대로 나오고 접속됨 시간이 필요한 일이었나봄


라즈베리파이 부팅 시 ssh 자동 실행

$sudo nano /etc/rc.local

사진처럼 exit 0 위에 빨간 박스 입력 후 저장

재부팅 후

$/etc/init.d/ssh status

active면 완료



기본 명령어

라즈베리파이 종료

$ sudo halt

라즈베리파이 재부팅

$ sudo reboot

라즈베리파이 설정

$ sudo raspi-config


2.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한 GUI사용

$ sudo apt-get install xrdp

이후 윈도우에서 원격접속하면 된다

window+R -> mstsc -> ip입력 -> 로그인

ex) 192.168.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