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ocker search {image}
// docker public registery에 등록된 공개 이미지를 검색

# docker pull {image}
// 이미지 다운

# docker images
// 시스템에 다운받아져 있는 이미지 목록

아까 다운받은 ubuntu가 존재함을 찾아볼 수 있다.
# docker run {option} image[:tag|@digest] {command} {arg...}
// 컨테이너 실행
| OPTION | DESCRIPTION |
| -d | 백그라운드 모드 |
| -p |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포트 연결 (포트 포워딩) [host_port:container_port] |
| -v |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디렉토리 연결 (마운트) |
| -e | 컨테이너 내에서 사용할 환경변수 설정 |
| -name | 컨테이너 이름 설정 |
| -rm | 프로세스 종료시 컨테이너 자동 제거 |
| -it | -i : 표준입력을 컨테이너에 전달 / -t : 컨테이너에 터미널 할당 |
| -link | 컨테이너 연결 [컨테이너명:별칭] |

옵션을 넣고 docker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컨테이너가 생성됨을 알 수 있다.
exit로 bash쉘을 종료하면 컨테이너도 같이 종료된다.
# docker ps
//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 목록 출력
# docker ps -a
// 죽은 컨테이너 목록도 함께 보여줌

# docker restart {container}
// 죽은(exited) 상태인 컨테이너를 되살림

그러나 이 경우 /bin/bash가 실행되지는 않는다.
도커 ID의 전체 길이는 64자리이지만 명령어의 인자로 전달할 때는 다른 컨테이너와 겹치지 않는만큼만 입력해도 된다. 예를 들어 ID가 abcdef인 컨테이너와 abdce인 컨테이너가 있다면 abc까지만 입력해도 abcdef 컨테이너로 인식한다.
# docker attach {container}
// 다시 컨테이너 안으로 들어감
* exited 상태인 컨테이너에 바로 쓸 수는 없고 restart한 뒤 사용 가능하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ocker] How to use docker #3 (0) | 2019.12.26 |
|---|---|
| [Docker] How to use docker #2 (0) | 2019.12.24 |
| [Docker] What is docker? (0) | 2019.12.23 |
| 프린트 없이 정부사이트 PDF 출력 (0) | 2018.08.16 |
|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구성요소 (0) | 2018.04.30 |